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6

DND 사이드 프로젝트 5기 & UPF 2021FW 회고 (1) 이 글은 6월 말부터 12월 말까지 6개월동안 DnD 사이드 프로젝트 및 UPF 2021FW를 진행하며 느낀 점과 회고를 작성한 글입니다. DnD와 UPF의 회고를 같이 쓰는 이유는 UPF에서는 기존 타 외부활동에서 완성하지 못한 프로젝트를 '고도화' 하는 외부활동이였기 때문에 연계하여 회고를 작성하려고 했습니다 :) DnD 사이드 프로젝트 5기 6월 즈음 회사에서 업무를 하다가 주말이나 남는시간에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고싶어서 DnD 라는 사이드 프로젝트에 지원서를 넣었다. 문항들은 잘 기억이 안나 정확하게 쓸 수는 없는데 기술적인 질문(지원서에서 기술질문이 나와서 좀 당황)과 하고싶은 프로젝트 및 협업에 대해 작성했던 것 같다. 회사일은 안바쁜가? 바쁘다. 물론 바쁘다. 하지만 개발자로서 성장이 목말라.. 2021. 12. 30.
야구선수에서 개발자가 되기까지 이 글은 제 예전 블로그에서 옮겨온 글입니다. 이 글을 쓰는 이유 딱 100번째 게시글 기념 이기 때문에 야구선수로서 살아온 지난 날들과 컴퓨터소프트웨어공학과 편입, 개발자로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지금의 모습을 기록하고 몇년 후가 되더라도 초심을 잃지 않기 위해 기록하는 글이다. 최근 인턴과정을 수행하면서 정말 많은 것들을 배웠다. 그런데 가끔 회의감이 밀려올 때도 있었다. '나는 무엇을 위해 이렇게 공부하고 있는 것일까?' 라는 생각이 머리속을 꽉 채울때도 많았었고, 그냥 '돈을 많이 벌기 위해?' 라는 이유 하나만으로는 동기부여가 되지 않았었다. 결론적으로는 인턴과정을 끝내고 만족스러운 조건으로 입사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에서야 인턴과정을 되돌아 보면 조금 더 열심히 해볼걸.. 이라는 생각이 들기.. 2021. 12. 28.
DockerFile 작성하기 서론 우선 Docker 를 쓴게 막 엄청 오래된건 아니였지만 그래도 나름 한 1년정도는 자주 애용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제 와서 왜 Dockerfile 을 작성하려고 하냐.. 그건 바로 정리되지 않은 지식덕분에 결국엔 구글링을 전부 해본다는게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Dockerfile 작성 방법을 아주 "간단하게"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DockerFile? DockerFile 은 도커에서 이용하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이미지를 스크립트 파일(DockerFile) 을 통해 내가 설정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는 일종의 Image Config 파일이다. 사실 이전에 포스팅 했던 'MS 공식문서로 이해하는 ~~' 시리즈에서 DockerFile에 대한 내용은 어느정도 정리를 해놓았는데요, 하지만 .. 2021. 12. 28.
MonoRepo란 무엇일까? 이 게시글은 제 이전 블로그에서 옮겨온 글 입니다. MonoRepo란 MonoRepo 는 Monolithic Repositories 의 약자로, 하나의 리포지토리에서 여러개의 프로젝트가 구성된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보통 하나의 리포지토리 안에 하나의 프로젝트가 들어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프로젝트 구성을 Multi-repo , PolyRepo 라고 합니다. MonoRepo를 사용하는 이유 MonoRepo 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물론 장점만 있는것은 아니기에 프로젝트의 목적 및 환경 등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해서 결정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장점 1. 하나의 리포지토리로 여러개의 프로젝트 관리 하나의 리포지토리가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포함하고 있는것은 큰 편의성.. 2021. 12. 28.
Docker란 무엇인가? 이 게시글은 제 이전 블로그에서 옮겨온 글입니다. Docker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서버를 관리한다는건 복잡하고 어려우며 고급 개발자들의 섬세한 작업이 필요한 영역입니다. 예전에는 회사에서 사용하는 리눅스와 오라클 버전이 딱 정해져 있었고, 버전을 업데이트 하는것은 엄청난 리스크였기 때문에 서버는 최대한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두는게 최선의 방법이였습니다.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도 문제였는데 서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의 버전이 다르거나 동일한 포트를 사용하는 경우는 설치가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차라리 서로 다른서버에 설치하는게 더 나은 방법이였고, 그렇게 조립 PC는 늘어나고 자원은 낭비되었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서버 환경이 계속 바뀌는데 CentOS 에 익숙해지면 Ubuntu 를.. 2021. 12. 28.
블로그 이전 Velog에서 꽤 오래동안 포스팅을 했다. 결국엔 다시 티스토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어쩌다 보니 1년 주기로 블로그를 옮겨다니는데 이번엔 정말로 마지막 이전이 되기를 바란다.. 이유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블로그의 방향성이다. 벨로그에서 포스팅을 하다보니 가장 먼저 드는 생각이 "무엇을 위해?" 였다. Velog 플랫폼에선 뭔가 제대로 블로그의 '주인장?' 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았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포스팅에 대한 의지도 줄어갔다. 결론 앞으로는 티스토리에서 열심히 포스팅 할 계획이다. -끝- 2021. 12. 28.
반응형